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우량과 하수발생량의 상관특성분석

by 코스모스 13 2022. 12. 9.
반응형

상관분석(correlationanalysis)이란 두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상관관계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변수들 간에 다양한 형태의 상관도를 살펴보고, 이러한 상관도를 통계적으로 어떻게 측정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김영채, 1998).


상관계수 r은 -1부터 1까지의 값을 취할 수 있는데,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r이 -1.0과 -0.7사이이면 강한 음적 선형 관계
r이 -0.3과 -0.7사이이면 뚜렷한 음적 선형 관계
r이 -0.1과 -0.3사이이면 약한 음적 선형 관계
r이 -0.1과 +0.1사이이면 거의 무시될 수 있는 선형 관계
r이 +0.1과 +0.3사이이면 약한 양적 선형 관계
r이 +0.3과 +0.7사이이면 뚜렷한 양적 선형 관계
r이 +0.7과 +1.0사이이면 강한 양적 선형 관계


상관분석은 단순히 두 연속형 변수 사이에 어느 정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으로 두 변수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원인과 결과의 관계는 설명할 수 없는데, 실제의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하나의 변수로부터 다른 변수의 값을 예측하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원태연, 2006). 따라서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회귀분석이며 일반적으로 선형 모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단일 회귀분석의 경우 그 적합성을 검정하는 데 있어 보통 R2값을 이용하여 판단하며 본 연구의 상관성 해석 시 상관계수 R2값이 나타내는 의미를 표 3.1과 같이 나타내었다(노형진, 2002).      

결정계수 R2  상관성 해석
0.81~1.00 상관성이 아주 높다
0.49~0.81 상관성이 높다
0.16~0.49 확실한 상관성이 있다
0.04~0.16  얕은 상관성이 있다
0.00~0.04 상관성이 거의 없다

 

Mines(2007)등은 조지아주의 24개의 하수처리시설에 대하여 강우에 의한 유입하수에 대한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개의 시설은 R2=0.16~0.36,8개의 시설은 R2=0.36~0.64, 나머지 14개의 시설은 R2=0.64~1.0로 분석되어 강우량과 하수발생량 사이에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2.1 국내의 청천일, 강우일 및 강우영향일을 판단 사례 바탕으로 하여 강우일, 강우영향일 1일, 강우영향일 2일을 고려하여 N 처리구역의 성과보증 1 지점, H 처리구역의 성과보증 4 지점, K 처리구역의 성과보증 8 지점에 대하여 2008년 4월부터 9월의 강우량 및 하수발생량 자료를 이용하여 월간, 강우 발생기간별 강우량과 총하수발생량 사이의 상관분석을 실시였으며, 청천일 기저 하수발생량을 산정하고 월간, 강우 발생기간별 하수발생량의 증감량을 산정하여 강우량과 증감량 사이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은 SPSS모델을 이용하였다. 또한 강우량과 하수발생량에 대하여 단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