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난 예·경보시스템

by 코스모스 13 2022. 11. 8.
반응형

최근 국내외 코로나19와 원숭이 두창과 같은 신종 전염병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다양한 형태의 대규모 재난 발생으로 인해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닌 범국가적인 대응을 요구하는 재난이 발생하고 있다(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21). 이러한 재난 및 사고가 발생하거나 발생이 예상될 때 정확하고 신속한 예·경보를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대다수 국민들은 재난 발생 시 해당 재난 발생에 대한 단순한 알림을 넘어서 대응, 대피방법, 행동요령 등의 맞춤형 정보를 요구하고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재난약자에 대한 알림 역시도 요구하고 있다.
과거의 사이렌 등을 통한 아날로그 방식에서 점차 방송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타깃팅을 통한 개인 맞춤형 알림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표적으로 운영되는 재난경보시스템으로는 재난문자방송(CBS, cell broadcasting service), DMB 재난경보 서비스(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 ice),

재난방송시스템(DITS, DisasterInformation Transform System) 등이 있다.
재난 상황 발생 시 위의 재난경보시스템들은 각각의 발령 방식 차이로 인하여 시간 차가 있을 수 있고, 발령 주체가 다를 경우 그 내용이 상이하여 혼란을 주는 상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재난정보에 글자 수의 제약 및 문자형태로 구성되어 재난취약자들을 위한 정보가 부족하다(안병덕 등, 2021). 그렇기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재난경보시스템 현황을 파악하고

과학기술을 활용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