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국 수질 상황
중국은 수자원이 부족하고, 수재가 자주 발생하며 수자원 분포가 불균형한 나라로 수자원은 전 세계 6위이다. 유엔이 2007년 3월 16일 “제3차 수자원 포럼”을 개최하기 전 발표한 최신 보고에서는(<세계 수자원 개발보고>) 180개 나라와 지역의 수자원 상황에 따라 순위를 배열하였는데 중국은 일인당 매년 약 2260만 입방미터의 용수 보유량으로 제128위에 있다.
일인당 보유량은 세계 평균치의 1/4로 약 일본의 1/2, 미국의 1/4, 러시아의 1/12이다. 정상적인 수요와 지하수를 과다하게 채굴하지 않는 경우 중국은 매년 300~400억 입방미터의 물이 부족하다. 매년 논밭의 가뭄 면적이 700~2000만 헥타르나 된다. 전국 669개 도시 중 400개가 물 공급 부족이고 110개 도시의 상황이 심각하다. 베이징, 톈진 등 큰 도시의 물 공급은 이미 상당히 심각한 경지에 이르렀다. 이와 동시에 인구 증가로 2030년까지 중국의 일인당 수자원 보유량은 지금의 2260만 입방미터에서 1700만, 1800만 입방미터로 줄어들어 수요량은 수자원의 개발, 이용 가능한 량에 접근하여 물 부족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이와 동시에 수질오염은 수자원 부족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어 전국이 오염 때문에 마시지 못하는 지표수가 40%나 될 것이고 도시를 지나가는 하천은 78%가 음용 가치를 잃을 것이다. 남방의 도시도 오염으로 인한 부족량이 도시의 전체 물 부족량의 60%를 차지할 것이다.
중국은 이미 유엔에서 지정한 수자원이 부족한 13개 나라 중의 하나로 되었다. 중국의 수자원 총량은 2.8만억 입방미터로 그 중 지표수가 2.7만억 입방미터, 지하수가 0.83만억 입방미터이다. 지표수와 지하수가 서로 교환하고 서로 공급하기에 중복된 0.73만억 입방미터를 빼면 하천과 중복되지 않는 지하수 자원이 약 0.1만억 입방미터이다. 국제에서 인정한 표준에 의하면 일인당 수자원이 3000 입방미터 보다 적으면 경도 물 부족이고, 2000입 방미 터보다 적으면 중도 물 부조이며 1000입 방미 터보다 적으면 심한 물 부족이고 500입 방미 터보다 적을 경우 극도 물 부족이다.
중국인 이미 16개 성(구, 시)의 일인당 수자원량이(국경을 통과하는 물은 포함하지 않음)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6개 성(녕하, 허베이, 산동, 하남, 산서, 강소)의 일인당 수자원량이 500입 방미 터보다 적다. 북방의 많은 대중 도시는 물 부족으로 인해 공장이 생산을 중단하거나 제한하여 손해 본 생산액은 1200억 원이나 된다.
남방의 일부 도시도 잇달아 물 기근이 발생하였다.
비록 수자원이 이처럼 부족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의 중시를 일으키지 못하였다. 인류의 낭비와 오염은 극심하다. 중국에서 물을 낭비하는 현상은 아주 보편적이고 중국의 농업 관개는 대부분 침수식 관개이고 농업용수의 효과적인 이용률 30~40%밖에 안 된다. 공업폐수와 생활오수를 재활용하지 않고 심지어 처리하지 않고 직접 배출하여 물이 오염되고 생태환경이 파괴하여 수자원 부족이 더욱 심각해졌다. 통계에 의하면 전 세계 오수 배출량은 이미 4000억 입방미터나 되고 5.5만억 입방미터의 물이 오염되었으며 전 세계 전체 흐름양의 14%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2008년에 중국의 폐수 배출량은 571.7억 톤으로 전년대비 2.7% 증가하였다. 중국의 주요 수역에서는 이미 백여 가지의 유기물을 발견하였다. 발견한 유기물 중 어떤 것은 암과 기형을 유발할 수 있고 돌연 변이를 일으키는 유기물이고 함량이 지면 수질 표준을 초과하였다. 최근 몇 년, 중국의 환경보호 부문은 수원보호 방면에서 큰 노력을 하였지만 경제발전 수준과 기술 수준의 제약으로 전국의 수원 오염 면적은 여전히 확대되고 있다. 90%이사의 도시와 수역이 심각하게 오염되고 약 50%의 중점 도시 수원수질이 마시는 수질 표준이 도달하지 못하였다.
2. 수질 오염의 악영향
(1) 인류건강 위협
오염물질은 일반적으로 먹는 물이나 음식을 통해 인체에 들어가 급성 혹은 만성 중독에 걸리게 한다. 비소, 크롬, 암모늄, 벤젠과 비 등은 암을 유발할 수 있다. 기생충, 바이러스 혹은 기타 발병 병균에 오염된 물은 여러 가지 전염병과 기생충병을 일으킬 수 있다. 중금속에 오염된 물은 사람의 건강에 아주 해롭다.
카드뮴에 오염된 물, 음식을 먹은후 신장, 골격에 병변이 발생하고 20밀리그램의 황산카드뮴을 먹으면 사망한다. 납 중독은 빈혈, 정신 착란을 일으킨다. 비소가 들어있는 물을 먹으면 급성 혹은 만성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비소는 많은 효소
를 억제하여 활성을 잃게 하고 생물체의 대사장애와 피부 각질화를 조성하여 피부암을 유발한다. 유기인 농약은 신경 중독을 일으키고 유기염소 농약이 지방에서 축적되어 사람과 동물의 내분비, 면역기능, 생식기능을 파괴한다. 다환성 방향족탄화수소는 대부분 암을 유발할 수 있다. 사이안화물도 독성이 강한 물질로 혈액에 들어가면 세포의 옥시다아제와 결합하여 호흡이 멈추고 질식 사망한다. 세계 위생기구(WHO)의 조사에 의하면 전 세계 80%의 질병이 물 오염으로 조성한 것이고 전
세계 50% 아동의 사망이 마시는 물의 오염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전 세계 12억 인구가 오염된 물을 마시고 각종 질병에 걸리게 되었고 전 세계에서 매년 2500만 아동이 오염된 물을 마시고 사망하였다. 전 세계에서 수질오염으로 인한 콜레라, 이질과 말라리아 등 전염병에 걸린 인수는 500만 명이 넘는다. 수질오염으로 인한 주요 질병으로는: 암, 결석, 심뇌혈관 경화, 불소 중독 등.
(2) 공업생산의 품질 저하
수질오염 후 공업용수에 더욱 많은 처리비용이 들고 오염된 수원은 설비의 부식을 악화시켰고 제품 생산량을 영향 하였다. 심지어 생산을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다. 자원,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였고 식품공업용수 표준도 더욱 엄격해져 수질이 표준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생산을 중지한다. 이 또한 공업기업의 효익이 낮고 품질이 떨어지는 원인이다.
(3) 농업생산의 품질 저하
농업관개는 반드시 국가의 <농업관개 수질 표준>에 부합되는 물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농업용수가 오염되면 오수 중의 오염물질이 농작물의 뿌리에 흡수되어 농작물 체내와 열매에 들어갈 수 있다. 농작물의 생산량이 줄어들고 품질이 떨어질 수 있고 심지어 사람과 가축이 피해를 입고 많은 논밭이 오염되어 토양의 질도 떨어지게 된다.
(4) 어류자원의 폐해
수질오염이 어업에 대한 영향은 주요하게 어류와 수산물의 생산량이 떨어지고 품질이 저하된다. 오염물질 중의 독소로 인해 어류가 만성 혹은 급성 중독에 걸린다. 그중 급성 중독은 어류를 죽일 수 있고 만성 중독은 어류의 활성을 낮추거나 생산량과 품질을 낮춘다. 오수 중의 비독성 오염물질은 물속의 분자 상태 산소를 소모할 수 있어 수생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어류의 생장환경을 개변하며 생산량을 감소한다. 특히 오수 중의 섬유성 오염물질은 어류의 아가미를 막아 어류가
호흡곤란으로 질식 사망한다. 뜨거운 폐기물이 지표수역에 배출되면 물의 온도가 높아져 어류의 생장조건을 개변하고
종류가 개변하거나 사망한다.
(5) 생태 환경 파괴
오염물질이 물속에 들어간 후 수질을 낮추어 물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고 수생환경과 주변 생태환경을 개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하수질오염의 상황 및 위해성을 조사하고 계량화 분석한 후 얻은 결과 황하 약 40% 구간의 수질이 심각한 5가지 유형에 속해 거의 물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경제발전에 따라 황하 유역의 오수 배출량은 20세기 80년대보다 2배나 많아졌고 오염사건도 끊임없이 발생하였다. 황하 상류의 대부분 지류는 부동한 정도로 오염되었고 중, 하류 거의 모든 지류의 수질이 장기간 심각한 5가지 유형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류는 “오수 배출 하천”으로 되어 황하 주변의 생태환경이 더욱 악화되었다. 이상 수질오염으로 인한 생태와 환경문제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질오염은 거대한 경제적 손실을 조성할 수 있다. 계산에 따르면 환경오염으로 인해 중국은 매년 2830억 원의 손실을 입게 되고 그중 환경파괴로 인한 건강피해는 포함되지도 않았다.
출처 : 中國의 水質汚染 改善方案에 대한 硏究
A study of Policies to Address China’s Water Pollution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