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괴롭힘의 개인적 건강 영향
1. 신체적 영향
➊ 두통, 위장질환, 만성피로증후군과 같은 생리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➋ 섬유근통, 만성경부통증 등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음
➌ 괴롭힘을 당한 사람이 일반인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1.46배 높음
➍ 섭식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섭식장애 정의 : 과도한 식이 요법의 부작용 또는 여러 가지 생리적ㆍ정신적 원인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으 로 음식을 섭취하는 증상. 거식증과 폭식증이 있다
➎ 호르몬분비 기능 저하, 자율신경 조절장애, 면역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음
➏ 심·뇌혈관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음
2. 정신적 영향
➊ 개인의 행복감 감소
➋ 정신건강 문제 발생 및 정서적 불안 야기
➌ 자살 위험 증가
➍ 향정신성 약물 복용 증가
➎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직업적 트라우마 발생 가능성 증가
3. 업무적 영향
➊ 개인의 업무 인지능력 저하
직장 내 괴롭힘은 피해자의 근무환경에 대해 위협, 위험, 불안전함, 자기반성 등 정신 · 정서적 불안감을 야기해서 업무
인지능력을 저하시킴
➋ 직무능률 저하
직장 내 괴롭힘은 직무소진, 낮은 직무만족도 및 정신적 안녕 상태 등을 유발하여 직무 능률을 저하시킴
➌ 출근기피 요인
직장 내 괴롭힘은 결근, 병가 사용 증가, 불필요한 연차 사용 등 출근 자체를 기피하게 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남
직장 내 괴롭힘의 조직적 영향
1. 동료나 목격자에 대한 영향
➊ 동료나 목격자의 죄책감 발생
직장 내 괴롭힘의 피해자는 동료들에게 문제를 상의하는 경우가 많으며, 동료들도 사건에 연루되지 않거 나 중립적인 입장으로 남아 있기 어려워 어떤 형태로든 피해자를 돕지 못했다는 미안함과 죄책감 발생
➋ 동료나 목격자의 간접적 피해자 전이
직장 내 괴롭힘의 목격자들은 연쇄효과(Ripple Effect)에 의해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자신이 다 음 목표물이
될 것을 두려워하게 되는 등 간접적인 피해자가 될 수 있음
➌ 업무 효율성 저하
직장 내 괴롭힘의 동료나 목격자도 직장에서의 책임감, 직무 만족도, 생산성 등을 떨어뜨리고, 결근 · 병 가 가 잦아지며,
스트레스 증가 및 일상적 긴장 발생 등으로 업무 효율성이 저하됨
2. 회사 전반에 미치는 영향
➊ 조직 화합력 저해
직장 내 괴롭힘은 개인의 직무 소진, 개인 간 갈등 야기, 팀 내 결속력 저해, 팀 간 불신 조장 등으로 조 직 전체의 긴장을
고조시켜 조직 화합력을 저해시킬 수 있음
➋ 생산성 감소 및 기업 경쟁력 약화
직장 내 괴롭힘은 개인 직무만족도 저하, 병가 · 결근 증가, 조직 신뢰 감소 등으로 생산성이 감소하 고 , 이직률 증가,
직장 내 괴롭힘에 의한 대외 이미지 실추 등으로 기업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음